순수 한글 이름의 현실

우리나라에 한동안 작명 할 때 한자가 하나도 섞이지 않은 '순수 한글 이름'이 유행했던 적이 있었고, 지금도 그런 사고를 가진 젊은 부모님들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한글 이름이 성명학이론에 위배한다거나, 이름을 가진자에게 운명적 영향이 나쁘게 미친다는 이유로 이 글을 쓰는 건 아닙니다.

 

이름이란 나의 존재를 알리는 수단이고 아울러 서로를 구별하는  수단 중 하나이므로, 같은 발음을 가진 이름이 많으면 사람들은 헷갈려 분간을 하지 못하기도 합니다.

 

더구나 한글 이름은 표의문자가 아니라 표음문자이기 때문에 발음만 같으면 모두가 같은 이름이되고 유행에 따라 같은 이름이 많이 생겨나므로 한자 이름의 경우보다 같은 이름이 많아지게 됩니다.


 

 

 


한 예로, 순수 한글 이름의 [민준]이라는 이름은..., 발음 그대로 들리고, 여러사람이 사용할 경우에는  분별력이 없습니다.

 

하지만 한자 이름의 경우에는 [민준]이란 발음으로 여러 한자를 동원해 다양한 뜻으로 많은 이름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글 이름의 경우에는 우리의 오랜 관습인..., 두 글자 이름을 벗어나 이름의 글자 수를 세 글자나 네 글자로 늘리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을 모색해야만 개성적인 이름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한글 이름은 현대 사회를 살아감에 있어서는 현실적으로 불편함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다보니 현실적으로 부딪히는 오류와 불편함으로 개명하게 되는 사례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는 게 현실입니다.

 

제 조카도 같은 사례인데, 한글 이름의 유행으로 초등학생의 경우 한 반에 같은 이름이 여러명 있거나 놀림 받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일정 기간동안 개명改名 사유와 신청서만 작성하면 신청자 모두에게 별도의 허가절차 없이 개명을 허용한 적이 있었습니다.

 

 

 

 

현재도 성인이 되어 한글 이름이 어울리지 않고 놀림을 받는 경우,

 

중국어나 일본 등 한자 문화권 국가로 유학을 가면서 한자 이름의 필요성이 절실한 경우,

 

업무상의 필요 또는 본격적인 사회진출을 앞두고 한문으로 이름을 바꾸고자 하는 경우 등

 

생활의 불편함을 이유로 개명을 원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비교적 개명 허가가 잘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한자 이름을 한글 이름으로 개명하는 경우는 허가 확률이 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