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음오행법으로 짓는 좋은이름

좋은 이름짓는 발음오행법을 올려드립니다. 

 

오늘은 좋은 이름짓는 방법 중에 하나인 발음오행법을 알아보려합니다.

 

성명학에서 주로 적용하는 작명 방법을 크게 구분해보면..., 글자의 발음을 기준으로 작명하는 방법을 '발음오행법'이라 하고,

 

글자의 획수를 기준으로 작명하는 방법을 '수리오행법'이라 하며, 글자의 뜻을 기준으로 작명하는 방법을 '자원오행법 이라고 합니다.


본 포스트에서 다루고자 하는 발음오행법은, 다른 이름으로는 '소리오행' 또는 '음령오행'이라고도 부릅니다.

 

 

 

 

발음오행법은 한글의 자음을 오행[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으로 나누어 구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성명 글자의 발음오행의 상생이 그 사람의 운명에 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있습니다. 

 

한글의 발음에는 초성(初聲 : 첫소리), 중성(中聲 : 가운뎃소리), 종성(終聲 : 끝소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박'은 'ㅂ'이 초성이고, 모음 'ㅏ'가 중성이며, 'ㄱ'이 종성입니다.

 

이 가운데 '어떤 소리의 오행을 적용할 것인가'가 관건입니다.

 

 

 

 

성명학에는 초성의 오행 하나만을 적용하는 이론과, 초성과 종성의 두 오행을 적용하는 이론이 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초성 하나만을 적용하는 이론은, '박'의 경우 'ㅂ'만 적용하여 오행상 수(水)로 보고, 받침 'ㄱ'은 오행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즉 받침은 제외하고 초성만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초성과 종성의 두 오행을 적용하는 이론은, '김'의 경우 초성 'ㄱ'은 목(木)으로 보고, 종성 'ㅁ'은 수(水)로 보아 오행의 상생관계를 확인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