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강차 효능 계피 생강차만드는법 양파 생강차 만드는법!
생강의 용도는 주로 김치 등 김장용으로 '약방의 감초'처럼 넣는 조미료 겸 향신료 중의 하나입니다.
새앙이라고도 부르는 이 생강은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두통 등에 좋으며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 설사에 생강을 달여서 차로 마시면 좋습니다.
하여 생강차의 효능을 알아보고, 함께하면 생강차 효능이 배가되는 계피 생강차 만드는법과 양파 생강차 만드는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생강이란?
생강의 원산지는 동인도이며 뿌리줄기가 옆으로 자라고 황색의 덩어리 모양에 매운 맛과 향기를 지니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생강 꽃을 보기가 쉽지 않지만, 열대지방에서는 8월에 예쁜 꽃을 피운다고 합니다.
생강은 뿌리 줄기는 말려서 갈아 향신료로 사용하기도 하고 차와 술로 만들기도 합니다. 생강의 용도는 우리나라에서는 김장을 만드는 조미료로 주로 사용하고, 그 외 생강차로 만들어 먹습니다. 우리나의 생강 주산지는 충남 서산일대로 우리나라 생산량의 40%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생강차 효능!
- 풍부한 진저롤은 구강과 위 점막을 자극하여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고 식욕을 증진 시킵니다.
- 땀을 나게 하여 풍한을 없애주며 비위를 덮혀주고 양기를 돋우어 한기와 허열 치료에 도움을 줍니다.
- 두통, 코막힘, 몸에 나쁜 냄새 제거와 정신을 맑게 하는데 효능이 있습니다.
- 마른 생강은 가슴이 답답하거나 기침을 치료하고 지혈작용을 합니다.
- 또한 설사, 이질, 냉한 음식을 먹고 배가 아플 때, 곽란 등에 효과가 있습니다.
- 풍한감기, 가래, 기침이나 비위가 약해 토하는 증상, 입이 아주 쓴 증상에 좋습니다.
※ <동의보감>에 의하면 팔과 다리가 냉하고 근육이 쑤시고 아픈 증상 치료나 가슴 명치가 아픈 데에 좋다고 쓰여져 있습니다.
생강, 먹지 말아야 할 사람!
좋기만 한 생강이 누구에게나 좋은 것은 아닙니다. 생강차는 임산부에게는 좋지 않습니다. 매운 성분으로 인해 아기에게 태열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임산부는 생강차나 칡차 등을 마시면 안됩니다.
또 열이 많은 사람이나 몸이 뜨거운 사람이 먹으면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생강차 만드는법!
- 생강 3톨을 껍질을 벗기고 얇게 썹니다.
- 생강을 4컵 분량의 물에 넣어 30분 정도 끓이세요.
- 체에 받쳐 잔에 따른 후 기호에 따라 꿀이나 설탕을 넣거나,
대추를 넣어 드시면 더욱 진한 생강차 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
계피 생강차 만드는 법!
손발을 따뜻하게 하는 계피와 생강은 혈액순환을 도와 내장의 기능을 활발하게 해줍니다.
체질상 몸이 냉하거나 수족냉증이 있는 사람들에게 아주 좋은 약이지요.
- 우선 계피와 생강을 물에 씻어 생강은 껍질채로 잘게 썹니다.
- 계피와 생강을 1:1의 비율로 냄비에 넣고 쎈불에 끓이다가, 은근한 불에서 30분 정도 졸입니다.
- 완성된 계피 생강차는 냉장 보관 해 두고 수시로 마십니다.
양파 생강차 만드는법!
유럽에서는 양파에서 추출한 '알롬'이란 성분으로 감기치료제를 만들 정도로 양파는 초기 감기에 아주 좋습니다.
생강은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체온을 높여주고, 소염 진통 효과도 뛰어나므로 양파와 함께 차로 만들어 먹으면 감기예방과 컨디션 회복에 좋은 궁합이 됩니다.
- 양파의 껍질을 벗겨내고 깨끗이 씻어 잘게 썹니다.
- 생강을 잘 씻어 껍질 채 빗겨 썹니다.
- 양파 1/4쪽, 생강 10그램의 비율로 물에 넣어 30분 이상 중간 불에서 충분히 끓입니다.
- 완성된 양파 생강차는 냉장 보관해 두고 따뜻하게 데워서 마십니다.
지금까지 몸에 좋은 생강차 효능과 생강차 만드는법을 소개해드렸습니다.
아무리 좋은 음식도 주의사항이 있으니 참고하셔서 부작용 없는 음식이 되었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