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 증상, 척추관협착증 예방법
오늘의 유익한 한방 편에서는 척추관협착증 증상, 척추관협착증 예방법을 올려드리겠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이란, 어떤 원인으로 척추 중앙의 척추관, 신경근관 또는 추간공이 좁아져서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증세를 일으키는 질환을 말합니다.
척추관이란 척추 가운데 관 모양의 속이 빈 곳으로, 가운데 관 속은 뇌로부터 팔다리까지 신경(척수)이 지나가는 통로가 됩니다. 허리의 협착증 원인은 보통 30세 이후부터 허리디스크의 수핵과 섬유륜에 퇴행성 변화가 시작되어 이로 인해 추간판이 척추에 부착된 부위가 떨어져 골극(가시 같은 모양으로 뼈가 튀어나온 것)이 형성됩니다.
동시에 척추관을 구성하는 주변 구조물에서도 변성이 오면서 두꺼워져서 척추관 전후, 좌우 사방이 좁아지며 여기에 척추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휘어져 척추와 신경근을 직접 누르고 혈류 장애를 일으켜 증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척추관협착증 증상
척추관협착증 증상은 허리가 자주 아프고 요추 추간판 탈출증 때와 달리 엉덩이나 항문 쪽으로 찌르는 듯 또는 쥐어짜는 듯하거나 타는 것 같은 통증과 함께 다리의 감각이 이상하고 근력이 떨어지는 증상이 같이 나타나는데 날씨가 춥거나 움직이면 악화되고 따뜻하게 해주거나 쉬면 좋아집니다.
심해지면 허리를 굽히거나 걸음을 멈추고 쪼그리고 앉아서 쉬면 사라졌다가 다시 걸으면 같은 증상이 반복되는데 협착의 정도가 심할수록 보행거리가 짧아집니다. 보통 종아리, 발목, 무릎, 허벅지, 엉덩이 및 사타구니를 따라 넓은 범위의 감각이 없어지거나 저린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 치료
척추관 협착증은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입니다. 쉽게 말하면 노화가 진행되고 많이 사용해서 생기는 질환이기 때문에 한약이 많은 도움이 됩니다. 한약은 환자가 병이 생긴 원인을 살펴서 치료합니다.
대개는 몸이 허약해진 상황에서 외부의 나쁜 기운이 들어와서 생긴다고 보는데 다리가 많이 당기고 저린 경우는 사기를 몰아내는 처방을 쓰고, 몸이 약해져서 증상이 생긴 경우는 몸을 보하는 보약을 씁니다.
통증이 있는데 보약을 먹는 이유가 뭘까요? 한의학에서는 '불통즉통(不通則痛)'이라고 하여 사람의 기혈이 잘 순환되지 않으면 통증이 온다고 해석합니다. 그 통하지 않는 원인이 어혈이나 담, 또는 외부의 사기이면 그걸 없애는 치료를 합니다.
하지만 기운이 없고 혈이 부족해서 순환이 안 되는 경우는 기혈을 보태주는 약이 순환에 더 도움을 주어 치료가 되기 때문에 보약을 처방하기도 하고 치료 경과도 좋은 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