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방병 증상과 냉방병 예방법
오늘은 냉방병 증상과 냉방병 예방법을 올려드립니다.
요즘 날씨가 폭염의 연속입니다.
입추가 지났으니 좀 있으면 선선한 가을 날씨가 기다려지는 싯점이기도 합니다만....
요즘에는 냉방병환자가 늘고 있다는 뉴스를 접하곤 하는데....강약 조절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하여 냉방병 증상과 냉방병 예방법을 알아봅니다.
냉방병 원인
냉방병이란 냉방이 된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가 심하여 인체가 잘 적응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가벼운 감기, 몸살, 권태감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냉방병의 원인은 냉방에 의한 과도한 기온차, 습도변화, 에어컨의 위생 상태에 따른 공기청정율, 냄새, 환기상태, 곰팡이, 박테리아 독소, 과로와 스트레스 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에어컨 냉각수의 레지오넬라균의 증식이나, 빌딩증후군도 냉방병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여름의 고온상태와 냉방이 잘 된 실내에 적응 과정을 반복하면서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가 지치게 되어 호르문 분비와 스트레스 조절 반응에 이상을 일으켜 일어나는 병입니다.
또 냉방기의 제습 기능으로 습도가 낮아지면 코 점막 등을 통해 각종 유해균이 잘 침범합니다.
냉방병 증상
냉방병의 증상이 호흡기로 나타나면 감기와 비슷한 증세가 나타납니다. 두통이나 콧물, 재채기, 코막힘의 증상을 주로 호소하는데, 감기에 한번 걸리면 잘 낫지 않습니다.
몸이 나른하고 쉽게 피로해지고 두통이 흔합니다. 손발이 붓거나 어깨와 팔다리가 무겁고, 허리나 무릎, 발목 등의 관절이 무겁게 느껴지며 심할 때는 통증이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냉방병이 위장 장애로 표현되면 소화 불량과 하복부 불쾌감이 있고, 심하면 설사를 하기도 합니다. 여성은 여름에 노출이 심해 냉방병에 취약하여 생리가 불규칙해지거나 생리통이 심해지기도 한다.
또 만성 병이 있는 경우는 면역 기능이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냉방병의 영향이 더 심할 수 있습니다.
냉방병은 대부분 냉방환경을 개선하면 대부분 호전되지만, 증상이 심하여 일상생활이 불편할 경우라면 치료를 해야 합니다.
냉방병 예방법
냉방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여름철 냉방 시 이런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실내외 온도 차이는 5~6℃ 이내로 하고, 사람이 적은 방향으로 에어컨 송풍 방향을 맞추어야 하며 에어컨의 찬 공기가 직접 몸에 닿지 않도록 합니다.
긴 소매의 덧옷을 준비하는 것도 한 방법이며 에어컨은 1시간 가동 후 30분 정도 정지하는 게 좋습니다. 적어도 2∼4시간마다 5분 이상, 창문을 열어 실내외 공기를 환기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대형빌딩은 에어컨 시간 조절이나 환기가 사실상 어려우므로 자주 외부에 나가 바깥 공기를 쏘이는 것이 좋습니다. 에어컨은 청결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혈액순환을 돕기 위해 맨손 체조나 가벼운 근육 운동을 수시로 하고, 자세를 자주 바꾸어줍니다. 찬물이나 찬 음식을 너무 많이, 자주 마시지 않습니다.
잠잘 때는 배를 따뜻하게 덮고 자야합니다. 과로와 수면 부족으로 몸의 면역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겠죠.
지나친 냉방을 피하고,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