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별 추어탕 끓이는법
오늘은 지방별 추어탕 끓이는법을 올려드리겠습니다.
미꾸라지를 가리키는 한자 추(鰍)는 가을을 의미하는 글자 추(秋)와 물고기를 의미하는 글자 어(漁)를 결합해 만든 글자입니다.
이름에 나타나있듯 미꾸라지는 예전부터 가을의 대표적인 먹거리였습니다.
산란기를 맞이해 먹이 활동이 왕성해지는 봄철 미꾸라지도 맛이 좋지만, 동면을 앞둔 가을 미꾸라지는 살이 통통하게 영양부터 맛까지 흠잡을 곳이 하나도 없습니다.
미꾸라지를 이용해 만든 대표적인 음식은 '추어탕(鰍魚湯)'인데, 지방별 추어탕 끓이는법을 알아봅니다.
조선시대에는 입동(立冬)이 되면 마을의 노인들을 대접하는 풍속이 있었는데, 이를 치계미(雉鷄米)라 불렀습니다.
치계미는 꿩·닭·쌀을 합친 말로 우회적인 의미로 '사또의 밥상에 올릴 반찬 값으로 받는 뇌물'을 뜻했습니다.
미풍양속에 이와 같은 명칭이 사용된 이유는 마을의 노인들을 사또처럼 극진히 대접한다는 의미를 담았기 때문입니다.
본래는 귀하고 좋은 음식을 대접해야 하지만 먹고 살기 힘든 서민들 사이에서 비싼 음식을 마련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치계미를 대신해 도랑탕 잔치를 벌였습니다.
입동 무렵에는 미꾸라지들이 겨울잠을 자기 위해 도랑에 숨는데, 이때 도랑을 파면 동면을 대비해 살을 찌운 미꾸라지들을 잡을 수 있습니다.
이 미꾸라지로 추어탕을 끓여 먹었는데 이것이 도랑탕 잔치입니다.
오늘날 추어탕은 전국 어디에서나 맛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각 지역을 돌아다녀보면 이름은 같지만 지방별 추어탕 끓이는법은 조금씩다릅니다.
가장 보편화된 추어탕 끓이는법은 역시 전라도식 추어탕입니다.
추어탕이 유명한 남원의 이름을 빌려 남원 추어탕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남원 추어탕 끓이는법은 미꾸라지를 푹 삶아 잘 으깨서 사용합니다.
부재료로는 주로 시래기를 사용하고 된장과 들깨가루를 풀어 국물을 냅니다.
먹기 전에 산초를 듬뿍 넣어 먹는 것도 특징입니다.
서울식 추어탕은 미꾸라지를 통째로 사용합니다.
사골을 삶아낸 국물에 두부나 버섯 등 부재료를 추가해 넣고 끓이다가 고춧가루를 풀고 미꾸라지를 넣어 끓입니다.
최근에는 손님들의 취향을 고려해 미꾸라지를 갈아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다른 지방의 추어탕과 구분하기 위해 '추탕'이라 부릅니다.
경상도식 추어탕 끓이는법은 전라도식과 동일하게 미꾸라지를 삶아 잘게 갈아서 사용합니다.
다른 점은 부재료로 토란대·고사리·숙주 등을 사용하고 전라도식에 비해 맑게 끓여 개운한 맛을 강조합니다.
강원도의 추어탕 끓이는법은 다른 지역과 달리 고추장을 중심으로 맛을 낸 추어탕을 맛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