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성 우울증 위험성 및 치료

오늘의 건강관리 편에서는 계절성 우울증 위험성 및 치료에 관한 글입니다.

 

겨울이 되면 정체 모를 우울감에 불편했던 적이 있으실 겁니다.

 

'겨울을 탄다'고 생각하며 대수롭지 않게 여겼지만, 이어지는 심한 우울감에 괴로워한 적은 없으셨는지요?

 

이렇게 계절의 흐름을 타며 찾아오는 우울증을 계절성 우울증이라고 하는데요. 생각보다 이러한 우울감을 겪는 분들이 많습니다.

 

불현듯 겨울철에 찾아와 마음을 괴롭히는 계절성 우울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계절성 우울증 위험성 및 치료

 

@ 계절성 우울증이란?
 
계절성 우울증은 주로 낮이 짧아지는 가을과 겨울에 겪게 되는 우울증의 한 유형입니다.

 

계절성 정동장애(SAD)라고도 불리는데요. 아직 정확한 발생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계절에 따른 일조량 부족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조량이 부족하게 되면 체내 신경전달 물질인 멜라토닌의 분비가 줄어듭니다.

 

멜라토닌은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생체리듬 조절과 수면주기 조절 등의 기능을 맡아 외부 변화에 잘 적응하도록 돕는데요. 이 멜라토닌의 균형이 깨지면서 우울증이 찾아오는 것입니다.

 

 

 

 

@ 계절성 우울증 위험성
 
계절성 우울증은 보통 늦가을부터 봄까지 계속돼 가벼운 우울감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겨우내 우울한 기분은 무기력증을 유발하는데요.

 

이 때문에 누워있는 시간이 늘어나 수면시간도 과하게 증가합니다. 그러나 수면시간만큼 숙면을 취하지는 못해 피로도는 더욱 높아지죠.


또, 계절성 우울증 환자의 자살 위험은 비계절성 우울증 환자보다 더 높게 나타나는데요. 기존에 우울증을 앓은 적이 있는 사람의 경우, 계절성 우울증에 더 잘 노출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병력이 있거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겨울철에 특히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 계절성 우울증 치료
 
계절성 우울증을 치료하는 좋은 방법은 햇볕을 자주 쬐며 생체리듬을 다시 되돌리는 것입니다.

 

하루 최소 10분~15분 정도 밖에서 밝은 햇볕을 쬐는 것이 좋은데요. 실제 정신과 치료에도 이와 같은 광선 요법을 이용합니다.

 

햇볕을 쬐면 체내에서 비타민D가 생성되는데 이 비타민D는 심리적인 안정과 엔도르핀 생성을 촉진하는 세로토닌의 분비를 활성화해 우울증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우울증으로 망가진 생체리듬을 회복하기 위해 과일과 채소 등을 섭취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특히, 엽산이 풍부한 아스파라거스, 시금치, 키위 등은 행복 호르몬 세로토닌의 생성을 도와 우울증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비타민D가 들어있는 버섯과 우유, 셀레늄이 풍부해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견과류와 해조류, 기분을 좋게 만들어주는 초콜릿 등의 식품도 우울증을 이겨내는 데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