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 주의사항, 천식치료의 한방요법과 민간요법!

 

오늘의 건강법은 천식의 주의사항과 천식의 한방요법과 천식의 민간요법을 알아봅니다.

 

날씨가 차 지면서 감기, 기침, 천식 등 호흡기질환자의 관리가 요구되는 계절입니다.

 

잘 알고 계시는 천식은 평상시 증상 조절이 잘 되다가도 여러 가지 자극에 의해서 갑자기 숨이 찰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호흡 마비로 응급실로 이송하는 도중에 생명이 위독한 경우도 있더군요.

 

따라서 심한 천식발작의 증후가 있을 때는 바로 병원으로 가야합니다.

 

 

 

 

천식환자의 주의사항!

천식 환자는 평상시 증상을 악화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선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사람이 많은 곳은 피하고 손을 자주 씻고 휴식을 취하고 몸을 보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갑자기 찬 공기에 노출되는 것도 피해야 하며 담배 연기, 자극적인 각종 스프레이, 페인트, 향수, 실내 난방이나 음식을 만들 때 발생하는 가스 등에 의해서도 천식 발작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대기오염이나 황사가 심한 경우,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때에는 가급적 외출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적절한 운동은 괜찮지만 찬 공기를 마시며 달리는 경우에 기관지 수축이 와서 심한 호흡곤란을 느끼게 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천식의 일반요법!

스트레스나 심리적 긴장 시 부교감 신경이 자극되어 기관지 수축이 심해져 천식이 악화되므로 가능한 한 심적으로 여유로운 생활을 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천식은 한의학적으로 기의 무게 중심이 위로 올라가서 생긴 즉 상기가 돼서 오는 질병으로 파악합니다. 그래서 인체의 상부에 증상이 있게 되고 내쉬는 숨이 많고 들이쉬는 숨이 적어 어깨를 들썩이며 호흡하게 됩니다.

 

상기가 되는 원인은 폐와 소화기계, 신장의 기의 균형이 맞지 않아서 온다고 봅니다.

 

 

 

 

천식의 한방요법!

천식은 급성발작이 있을 때는 양약으로 조절하고, 완화되었을 때 주로 한약으로 치료를 합니다. 천식 치료는 반드시 먼저 환자가 실한지 허한지를 살펴야 하고 원인에 따라 처방을 달리합니다.

 

화가 많은 경우에는 폐를 맑게 하고 화를 내려주는 처방을, 담으로 인한 경우에는 가래소리가 심한 것이 특징인데 담을 없애주는 처방을, 스트레스로 인한 경우는 가슴답답증이 심하고 한숨을 쉬며 숨은 차지만 가래소리는 심하지 않은 것이 특징으로 울증을 풀어주는 처방을 위주로 합니다.

 

통용방으로는 소자강기탕을 많이 사용하는데, 박경리 소설 토지에도 의원이 해소천식환자에게 소자강기탕을 쓰라고 나오는 대목도 있습니다.

 

실제 진료실에서 보는 천식환자들은 몸에 화가 많아 식사도 잘 하고 다른 데는 건강한데 천식이 있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런 경우는 신장을 보하는 약을 꾸준히 써주면 많이 좋아집니다.

 

 

 

 

천식의 민간요법!

민간요법으로 도라지 뿌리인 마른 길경 9g이나 마른 감나무잎 9g을 물에 달여서 하루 3회 식후 2시간에 1컵씩 마십니다.

 

물엿에 무를 잘게 썰어 넣어서 하루 2~3회 10~20ml를 뜨거운 물에 타서 먹는 것도 좋습니다.

 

호두기름을 꾸준히 먹거나 은행을 하루 5~6개 먹어도 도움이 됩니다.